ELB로 부하를 분산시켜 가용성 향상

2023. 12. 24. 16:48·클라우드&인프라/AWS 구조와 서비스

ELB란?

Elastic Load Balancing은 AWS에서 제공하는 로드 밸런서 서비스 입니다. 로드 밸런서의 주요 기능은 응용 프로그램으로 트래픽을 로드 밸런싱하는 것 입니다. 또한 트래픽을 보내는 서버가 멈추지 않고 실행 중인지 정기적으로 확인해 가용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 ELB는 Amazon Web Services (AWS)에서 제공하는 부하 분산 서비스입니다. ELB는 들어오는 애플리케이션 트래픽을 여러 Amazon EC2 인스턴스, 컨테이너, IP 주소, Lambda 함수 등에 자동으로 분산시켜, 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과 내결함성을 향상시킵니다.

 

부하 분산

트래픽을 여러 대상으로 전달하도록 지정하면 사용자의 접속을 자동으로 분산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설정하면 대량 접속이 발생하더라도 부하를 나눌 수 있습니다. 또한, 각 대상을 다른 AZ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지리적으로 분산할 수 있어 재해가 발생했을 때의 가용성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대상 모니터링

ELB는 항상 대상(트래픽의 도착지)에 대한 연결과 상태를 검사하고 확인합니다. 이를 통해 요청 추적이나 CloudWatch 지표를 취득할 수 있으므로 언제든지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감시를 통해 비정상적인 동작을 감지하면 대상을 자동으로 분리해 안정적인 작동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보안 기능

ELB는 보안 그룹을 비롯한 AWS의 기본적인 보안 서비스를 적용할 수 있고 SSL/TLS 서버 인증서를 설정해 암호화 통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ELB 유형

이름 설명
Application Load Balancer(ALB) - HTTP 트래픽과 HTTPS 트래픽의 부하 분산이 가능
- 레이어 7(응용 프로그램 계층)으로 동작하므로 마이크로 서비스나 컨테이너 등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에도 대응 가능
Network Load
Balancer(NLB)
- 레이어 4(전송 계층)에서 동작하므로 HTTP/HTTPS 외에 TCP, UDP, TLS 트래픽의 부하 분산도 가능
- 수백만 건 이상 요청이 발생하는 대규모 트래픽에서도 속도가 빠름
Classic Load
Balancer(CLB)
- ALB, NLB 서비스 이전부터 제공된 구형 로드 밸런서
- 레이어 4(전송 계층) 및 레이어 7(응용 프로그램)에서 동작
- 예전 아키택처를 이용해야 하는 등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ALB나 NLB의 이용을 권장
Gateway Load
Balancer(GWLB)
- AWS에서 제공하는 타사 보안 제품의 배포 및 관리 기능
- 레이어 3(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
- 기존 NLB 및 VPC 피어링, Transit Gateway에서 구현하던 아키텍처를 더욱 단순하게 구현 가능

 

출처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0882352

 

AWS 구조와 서비스 | 우에노 후미아키 - 교보문고

AWS 구조와 서비스 | 풍부한 그림과 알기 쉬운 설명으로 핵심 AWS 서비스를 한눈에 이해한다!전 세계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의 이용이 활발해지고 있어 클라우드의 활용은 이제 비즈니스에서 빼

product.kyobobook.co.kr

 

'클라우드&인프라 > AWS 구조와 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CloudFront  (0) 2023.12.25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DNS 서비스  (0) 2023.12.24
VPC에서 VPC, 외부 서비스, 온프레미스와의 연결  (1) 2023.12.24
Amazon VPC  (2) 2023.12.23
네트워크 기초 지식  (1) 2023.12.23
'클라우드&인프라/AWS 구조와 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WS CloudFront
  •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DNS 서비스
  • VPC에서 VPC, 외부 서비스, 온프레미스와의 연결
  • Amazon VPC
인프라 감자
인프라 감자
  • 인프라 감자
    삶은 인프라
    인프라 감자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243)
      • 클라우드&인프라 (28)
        • 인프라 공부 (4)
        • AWS 구조와 서비스 (18)
        • 클라우드 공부 (4)
        • Terraform (2)
      • AWS Cloud School (13)
        • project (5)
        • Linux, Network (6)
        • Docker (2)
      • BackEnd (162)
        • JAVA 공부 (15)
        • 알고리즘 공부 (71)
        • MySQL 문제 풀기 (8)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18)
        • 스프링 MVC 1편 (4)
        •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21)
        • 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8)
        • 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5)
        • 스프링 데이터 JPA (8)
        • Querydsl (4)
      • 혼자하는 프로젝트 (32)
        • 배달의 민족 클론코딩 (7)
        • 나만의 프로젝트 (10)
        • 스프링 부트로 구현한 웹 (15)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Email
    • GitHub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스프링 핵심 원리-기본편
    VPN
    완전탐색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네트워크 기본 용어
    정렬
    자바
    중첩 선언
    이것이 자바다
    linux
    유니온 파인드
    쿼드 압축
    디팬스 게임
    dp
    querydsl
    프로그래머스
    자동 배포
    백트래킹
    조합
    상속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인프라 감자
ELB로 부하를 분산시켜 가용성 향상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